[Computer Science] [네트워크] 전송 계층
·
Computer Science/Network
전송계층전송계층의 역할응용 계층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 식별 → 포트를 통해서 식별한다.네트워크 계층의 신뢰성/연결성 확립포트네트워크 계층은 A호스트와 B호스트 어디있는지 IP 주소를 토대로 식별할 수 있다. 하지만 B 호스트한테 패킷이 도달한 후 어떤 응용 어플리케이션에게 패킷을 줘야할지 알 수 없다.포트번호를 어떤 어플리케이션에게 패킷을 전달해야하는지 알려준다.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를 식별해주는 고유한 문자열16비트로 표현 가능 65536개포트 범위 : 0번부터 65535번까지웰 노운 포트, 시스템 포트,대중적인 포트HTTP, HTTPS 등 대중적인 프로토콜을 할당해주는 포트등록된 포트잘 알려진 포트에 비해서는 덜 범용적이지만 흔히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동적포트, 사설 포트, 임시포트사용자가 자유롭게 할..
[Computer Science] [네트워크] 네트워크 거시적으로 보기
·
Computer Science/Network
네트워크 거시적으로 보기이번에는 컴퓨터 공학 중 중요한 개념인 네트워크에 대해서 배웠다.네트워크의 구조, 프로토콜 개념 등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하였다.컴퓨터 네트워크컴퓨터를 이용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해본 경험이 있다면 네트워크에 대한 것도 많이 들어봤을것이다. 기본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채팅을 하고 사진을 보며 여러 정보들을 주고 받을 수 있다.네트워크란, 여러 장치들(host)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이다.인터넷그렇다면 인터넷은 무엇일가? 인터넷을 통해 우리가 뉴스를 보고 쇼핑몰에서 주문도 한다.인터넷은 LAN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ISP를 통해 WAN으로 접속하여 WAN에 접속만 한다면 전세계 언제 어디서든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.컴퓨터 네트워크 구성 요소..